자유게시판

“세계경제포럼(WEF) 2025” ppt

  • 2025-01-27 (00:00)
  • 155 hit

 

 세계경제포럼(WEF) 2025” ppt

 

금회는 딜로이트가 작성한 세계경제포럼(WEF) 2025” ppt를 전송드립니다.

매년 스위스의 작은 도시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은 전 세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술혁신기후변화 대응신뢰회복 등 글로벌 현안을 논의하며국제적 의제를 설정하고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

2025년 세계경제포럼 주제는 지능의 시대를 위한 협업(Collaboration for the Intelligent Age)입니다.

 

5대 의제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성장모델의 재구상(Reimagining Growth): 성장의 미래 새로운 성장원천은 무엇인가?>

 ▶새로운 성장원천 디지털경제: 기술혁신(AI, 양자컴퓨팅바이오테크)기반으로 성장경로 모색

  -대륙별로 경제상황에 적합한 성장경로 모색

  -국제적인 디지털 경제실현을 위한 국제협력강화 필요성 제안

 ▶아시아 독자생존 방안: 새로운 글로벌 질서 속에서 독자생존의 길 모색

  -전통적인 상품중심 무역에서 디지털 제품과 온라인 플랫폼 중심으로 교역확대 등 새로운 경제모델 구축 노력 강조

  -아시아 국가들이 지역내 협력강화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 제시

  -동남아 국가들의 대중견제대미협력 기조의 지역안보 강화 움직임 논의

② 지능시대의 산업(Industries in the Intelligent Age): 산업혁신 <산업환경 변화에 어떻게 균형을 유지할 것인가?>

 ▶생성형 AI의 잠재력 극대화: 산업혁신 요구에 따른 생성형AI 잠재력 극대화 방안 모색

  -산업별 특성 및 요구에 맞춘 AI 솔루션 개발인프라 확보 및 전문인재 양성

  -사이버보안모델 재편을 통한 신뢰할 수 있고 회복력 있는 디지털 미래 구축

 ▶글로벌 협력과 포용적 경제구축: 상호 연결된 미래에서 새로운 기회포착과 도전과제 해소 방안

  -AI, 생명공학양자컴퓨팅로보틱스 등 기술간의 높은 상호 연결성-->기술생태계 구축 필요성

  -주요 소재 및 부품 확보 경쟁심화(e.g,전기차소재)-->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공급망구축 필요

  -에너지 수요증가에 따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산업기업국가 간 상호협력 및 기후기술 솔루션 도출 방안 제시

③ 인재의 재교육 및 역량강화(Investing in People): 인재유치에 집중 <인적자본 개발과 좋은 일자리에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

 ▶미래 기술교육:: AI와 EdTech를 활용한 학습경험 혁신

  -(업스킬링 및 리스킬링노동자와 학생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전략제시

  -(미래핵심기술판적사고창의성문제해결능력 등 미래핵심기술에 대한 교육강화 방안 논의

  -교육의 형평성 제공과 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 구축 방안 논의

 ▶글로벌 인재의 분산: 디지털기술로 글로벌 인재 포용

  -(원격근무와 플랫폼 경제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저소득 국가의 노동자들이 글로벌 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제안

  -(디지털 격차해소저소득 국가와 지역에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및 기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적 협력방안 논의

  -대륙별 평생교육과 직업교육 확대 주제 논의

④ 기후변화대응(Safeguarding the Planet): 변화하는 기후로부터 인간보호 <에너지기후 및 자연의 행동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을까?>

 ▶탄소가격 책정 방안: 글로벌 탄소가격 시스템의 확대와 표준화

  -현재 탄소가격 책정시스템은 전세계 배출량의 24%

  -CBAM 도입시개도국의 무역노출산업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여 저탄소전환 지원방안 논의

  -IMF가 제안한 개발수준에 따른 차등화된 글로벌 탄소최저가격(floor price)을 통해 경제적 형평성 확보 방안 논의

 ▶새로운 트릴레마 - 기후개발 및 중산층: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개발 간 균형 실현

  -탈탄소화(decarbonization)와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면서도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방안 논의

  -화석연료 의존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위한 재교육(reskilling) 및 기술향상(upskilling) 프로그램 제안

  -중산층을 보호하면서도 경제구조전환을 촉진하는 정책 설계

 ▶기후기술이 제시하는 해답: 기술을 통한 기후위기 문제해소 및 지속가능한 경제모델 구축

  -생물학적 공정활용으로 오염물질 제거 및 지속가능한 소재 개발

  -폐기물 최소화와 자원재활용을 통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안

  -첨단기술을 활용한 자원회수 및 재사용 시스템 구축안 논의

⑤ 국제적 신뢰회복(Rebuilding Trust): 분열된 세상에서의 협력 <새로운 협력방법은 무엇인가?>

 ▶미국-EU-중국 삼각지대: 삼각관계 내 상호 의존성과 갈등 현안

  -(경제적 상호 의존성)미국, EU, 중국은 높은 수준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유지하고 있어무역 및 투자관계의 변화 전망과 과제 제시

  -(첨단기술경쟁반도체전기차청정기술 등에서 각국의 산업정책과 보조금정책 논의

  -(지정학적 긴장중국 무역갈등 및 기술경쟁 상황에서 EU의 전략적 자율성 유지와 양측과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

 ▶우크라이나 앞으로의 길: 우크라이나의 전후 재건과 글로벌 안보체제 강화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국제협력 모델을 제시

  -글로벌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국제사회의 단결 강조

  -유럽 및 북미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글로벌 질서에 통합

 ▶아프리카 경제의 성장: 글로벌 안보 및 개발과제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역할과 영향력 증가

  -아프리카연합(AU)이 G20 상임회원국으로서 국제경제 및 정치무대에서 영향력 증대 노력 논의

  -AU의 Agenda 2063과 UN의 2030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실현을 위한 다자 간 협력방안 논의

 

실로 중차대한 글로벌 이슈들 입니다.

 

김필주기술사 드림

 

###   파일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2025” ppt가 필요하신 분은 kimpj1@naver.com 김필주 메일로 연락주세요!

         본란에는 용량과다로 첨부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