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술사협회 연혁

연혁

  • 2023
    • 10 축산물 HACCP교육원 대전, 목포 교육장 추가 지정
    • 06 축산물 HACCP교육훈련기관 지정(식품의약품안전처)
    • 05 NCS 학습모듈 식품가공(유제품가공 등 3개모듈) 개선(한국직업능력연구원)
  • 2022
    • 09 강원도 홍천군 서석농협 두류가공 파생상품 개발 용역
    • 05 NCS 학습모듈 식품가공(수산식품가공 등 6개모듈) 개선(한국직업능력연구원)
    • 03 농촌진흥청 농식품가공 교육
    • 01 농산물가공 창업 교육(포천군 농업기술센터)
  • 2021
    • 11
      • 농산물종합가공지원센터 타당성 용역(고성군농업기술센터)
      • 농산물가공기술표준화 연구용역(고성군농업기술센터)
    • 06 농산물종합가공센터(화천, 강릉, 동해)가공기술 컨설팅 지원(강원도농업기술원)
  • 2020
    • 11 농가형 가공제품 상품개발 연구용역(춘천시 농업기술센터)
    • 05 지역특산물활용HMR제품개발(하동군 농업기술센터)
    • 01 이너뷰틱스틱 제품 개발 연구용역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 2019
    • 06 창립 30주년기념행사
    • 05 NCS 개선 수산식품제조, 면류식품가공, 유제품가공(한국산업인력공단)
  • 2018
    • 06 HACCP교육훈련기관 신규 지정(식품의약품안전처)
    • 05 강원도농업기술원과 식품가공교육 및 컨설팅 등에 관한 업무협약(MOU)
    • 01
      • 제16대 회장 오덕환 회장 취임, 제16대 문백년 사무총장 연임
      • 농협유통 납품업체 식품안전심사 (2018~23)
  • 2017
    • 11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메디 푸드 산업육성 연구용역(경상북도청)
      • 한산모시 소곡주 연구소 건립 기본계획 수립용역(명품화사업단)
    • 06 NCS 및 활용패키지 개선사업(두류식품가공등 6개직무)
  • 2016
    • 05
      • 주요외국의 식품원료 오염처리기준 비교조사 및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식약처)
      • 급식류 시범사업추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16.4.27~11.25)(국방부)
    • 04
      • 신사옥 입주 (송파구 법원로 127 (문정동) 대명밸리온 지식산업센터)
      • 유기가공인증컨설팅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01
      • 식품기술사협회 제9대 사무처장 문백년
      • 제 15대 백병학 회장 취임(제26차 임시총회)
  • 2015
    • 09 식품의 당류 줄이기 용역사업(9.12~2.12)(조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 01 제9대 사무처장 문백년 취임
  • 2014
    • 09 NCS 학습모듈 개발, 식품가공·저장·유통 등 14개(한국직업능력개발원)
    • 07 유기가공인증컨설팅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05 NCS 식품가공분야 개발(5.1~10.31), 식품가공 4개 직종(한국산업인력공단)
    • 01
      • 식품기술사협회 제8대 사무처장 이경일
      • 제 14대 백병학 회장 취임(제25차 임시총회)
  • 2013
    • 05
      • 소관부처변경(보건복지부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이관)
      • 농협하나로마트 납품업체 식품안전심사 (2013~17, 농협식품연구원)
  • 2012
    • 03
      • 식품기술사협회 제7대 사무처장 방인수
      • 제 13대 김동수 회장 취임(제24차 정기총회)
  • 2011
    • 10 친환경농산물 인증 사업(세종전통장류명품화사업단)
  • 2010
    • 07 광주전남지회 창립
    • 03
      • 식품기술사협회 제6대 사무처장 박승남
      • 제 12대 황이남 회장 취임(제22차 정기총회)
  • 2009
    • 04
      • 식품제조업체 애로기술 지도사업(농수산물유통공사)
      • 서울특별시 식품안전 멘토링 사업
  • 2008
    • 02 제 11대 이형재 회장 취임(제20차정기총회)
  • 2007
    • 11 식품중 위해물질 risk profile(Ⅱ)사업(식품의약품안전청)
  • 2006
    • 08 식품중 위해물질 risk profile(Ⅰ)사업(식품의약품안전청)
    • 05 식품기술사협회 제5대 사무처장 조영도
    • 03 제 10대 고한수 회장 취임 (제18차 정기총회)
  • 2005
    • 10 식품기술사협회 제4대 사무처장 백병학
    • 07 식품기술사협회 제3대 사무처장 이근선
    • 06 식품기술사 612명 배출
    • 02 정기총회 및 제9대 김수경회장 취임식 (국일관)
  • 2003
    • 09 식품기술사협회 제2대 사무처장 박승남
  • 2002
    • 08
      • (사)한국식품기술사협회 등기완료
        (서울지방법원 상업등기소 등기번호 000981호)
      • (사)한국식품기술사협회 법인창립(보건복지부 제276호)
        (식품 기술사 528명 배출)
  • 2001
    • 06 강원지회 창립(강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05 홈페이지 오픈 (www.foodpe.or.kr), 사단법인화 추진
    • 04 식품기술사회 제1대 사무처장 정호용
    • 02 제10회 기술세미나, 사단법인을 위한 창립총회 (팔레스호텔), 임원 선출 및 집행부 선임
    • 01 한국식품기술사회 부설 컨설팅 센터 설립
  • 1998
    • 08 한국식품기술사회 사무소 개소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63-5 태영빌딩 401호 )
  • 1992
    • 11 기술사법(법률 제4500호) 부활제정공포
  • 1991
    • 02 2대 회장 이성갑 교수 취임 (회원 26명)
  • 1989
    • 01 한국식품기술사회 창립 (초대회장 이한창, 회원 14명)
  • 1981
    • 12 국가기술자격법 과학기술처에서 노동부로 이관
  • 1974
    • 1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기술사(제11회) 배출
  • 1971
    • 10 일본기술사회와 기술교류를 위한 합의각서 교환
  • 1965
    • 02 국립공업연구소에서 67명의 기술사가 모여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기술사법에 의하여 한국기술사회를 창립
  • 1964
    • 12 농업, 수산, 임업, 전기, 기계, 화공, 섬유, 금속, 광업, 선박, 항공기, 건설, 응용 이학의 13개 부문 64개 전문분야에서 67명의 제1회 기술사가 배출됨
  • 1963
    • 11 국가경제개발 5개년 사업의 일환으로 경제기획원에서 제안하여 기술사법(법률 제1442호)을 제정·공포함으로써 기술사제도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