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
- 2024-11-02 (00:00)
- 463 hit
금회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글로벌보건산업동향에 게재된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을 전송드립니다.
스마트 노인돌봄이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노년층 삶의 질을 높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만성질환관리 △재택 노인돌봄서비스 △건강관리 △생활돌봄 △온라인 상담 등을
지원하며, 노인의 기본적 욕구인 △안전 △보안 △의료 △일상생활 지원을 위해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가족, 지역사회, 관련 기관, 단체 등 노인돌봄 시스템 전체를 연결하고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스마트 노인돌봄의 핵심기술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IoT 기술
▶노인용 IoT 기기는 스마트기기와 센서를 통해 노인의 주변 환경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노인들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을 적시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음
▶스마트 워치: 심박수, 혈압, 수면 패턴 등을 측정하여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위치추적이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긴급연락 가능
▶스마트 홈 기기
-도어센서: 집 문과 창문의 상태를 확인, 문이 장시간 열려있을 경우 알람이 울려 문제 상황을 인지하는 알람
-누수센서: 누수를 모니터링하고 경고하여 노인의 미끄러짐 방지
-연기 감지기: 연기를 감지하여 경고 및 화재 방지
-가스 감지기: 주방 가스 누수를 감지하여 경고
▶ 의료관리용 기기
-약물관리센서: 약 상자의 진동센서를 통해 복약 순응도를 모니터링하여 일정하게 약을 복용하는지 확인 가능
-의료경보 버튼: 위험에 처한 노인이 누를 수 있는 SOS 버튼으로 쉽고 빠르게 도움 요청 가능
② 빅데이터와 AI
▶빅데이터와 AI를 통해 노인의 건강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질병위험을 예측하고, 개인별 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의료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 또한, 노인 스스로 AI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자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음
▶AI 스피커
-글로벌 IT기업 아마존 웹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s)는 자사의 AI 스피커 알렉사(Alexa)를 통해 헬스&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함
-또한 기기를 이용하는 노인의 건강, 활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환에 대한 사전진단과 명상,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여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함
▶디지털 양로원
-중국의 종합 IT 기업인 알리바바는 AI기반 스마트 양로원을 개설하여 △로봇 안내원 △스마트 스피커 티몰 엘프(Tmall Elf) △음성인식 및 제어기기 오리보 믹스패드(Oribo MixPad) 등을 활용하여 노인들의 편안한 활동을 지원함
③ 원격의료서비스
▶원격의료를 통해 노인들은 이동하지 않고 집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의료부담을 줄일 뿐만 아니라 의료 제공자의 효율성을 향상시킴
▶노인을 위한 원격의료서비스 사례
-영국 NHS 헬스 콜(Health Call): 영국의 보건당국 NHS(National Health Service)는 원격의료서비스인 헬스콜을 개발하였고, 이 서비스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응급 위험과 비용을 모두 줄이는 결과를 도출함
-의료 MaaS(Mobility as a Service): 일본에서 시행하는 MaaS는 찾아가는 원격의료시스템으로, 디지털 소외계층인 노인들이 많은 지역으로 간호사가 탑승한 차량이 직접 방문하여 병원에 있는 의사와 원격으로 소통하여 의료조치를 취함
④로봇공학
▶노인을 지원하는 로봇으로는 서비스로봇과 의료로봇이 대표적임. 서비스로봇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지원하여 동행, 식사보조, 목욕보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의료로봇은 재활 훈련 및 치료에 사용됨. 또한, 최근에는 정서적 지원을
위한 소셜(Social)로봇이 개발되어 노인들의 외로움 해소에 도움을 줌
▶로보케어(ROBOCARE): 로보케어는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기업으로, 치매예방을 위한 특화 로봇실벗(SILBOT), 홈케어 로봇보미(BOMI) 등을 제작함. 로봇은 독립적인 생활할 수 있도록 도우며 집에서나 노인 거주지에서 정서적
삶의 질을 개선함
▶홈메이트(HomeMate) 로봇: 주변환경을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는 인지로봇으로, 노인은 로봇과 상호작용하여 음성 명령이나 제스처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음. 영화관람이나 음악감상 등 개인 여가활동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도 가능하며
한국과 미국의 요양원에 배치되어 기능이 높이 평가되고 있음
⑤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신체활동을 촉진하고 인지기능, 특히 기억력과 노인의 심리적 불안을 개선하는 데 유망한 접근방식임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다른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디지털 포용성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렌더버(Rendever): 고령자를 위한 VR 기기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과거의 즐거운 기억을 보여주는 맞춤형 과거회상 △세계 곳곳을 여행할 수 있는 경험 △새로운 소통 경험 등을 제공함
▶XR헬스(XRHealth): VR과 AR을 통합한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진료실로, FDA 및 CE등록된 의료XR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이 불편한 노인을 포함한 환자들이 집에서 종합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음
보고서는 국가별 대표적인 스마트 노인돌봄 사례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 1회 발행하는 "글로벌보건산업동향"은 의료서비스, 디지털헬스케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고령친화산업 등 보건산업 분야의 유익한 글로벌 최신 토막 정보와 이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 “스마트 노인돌봄 기술” --- 용량이 커서 아래 첨부파일에첨부되지 않았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kimpj1@naver.com 메일로 요청해 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게시자 김 필 주 기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