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푸드비즈니스랩 문정훈 교수팀, 단백질ㆍ대체당ㆍ원보울, 시장 재편하는 결정적 변화 분석
14일 서울대서 4시간 특별강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푸드비즈니스랩(Food Business Lab) 문정훈 교수팀이 국내 최대 규모 소비자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 식품산업의 미래를 조망하는 ‘2026 푸드 트렌드 - 혼웰식’을 출간(식품저널 발행)했다.
이 책은 ‘혼자 먹는 웰니스 식문화’를 의미하는 ‘혼웰식’이라는 신조어를 통해 급변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 소비 행태를 포착하고, 관련 업계가 미래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서 성공 확률을 높일 구체적인 전략 방향을 제시한다.
혼웰식의 시대: 웰니스와 혼밥의 급속한 결합
혼웰식은 한국 식문화를 관통하는 두 가지 강력한 메가 트렌드, 즉 ‘나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려는 웰니스 라이프스타일’, ‘일상적인 식사 형태가 된 혼밥 문화’가 결합해 만들어진 현상이다. 이 트렌드는 단순히 개인의 선호를 넘어, 식품의 ‘포맷(형태)’과 ‘콘텐츠(영양성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콘텐츠의 진화: 근거 기반의 합리적 웰니스 추구
과거 미신에 가까웠던 푸드 패디즘(Food Faddism)이 줄어들고, 영양학적ㆍ의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합리적인 웰니스 푸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가 크게 늘고 있다.
단백질 폭증 및 저속노화 트렌드: 오픈서베이 데이터 분석 결과, 2025년 상반기 기준 닭가슴살 섭취 빈도는 전년 대비 26.7% 증가했으며, 삶은ㆍ구운 계란 섭취 빈도 역시 동기간 30.9% 급증하며 단백질에 대한 강한 애정을 나타냈다. 또한, 탄수화물을 줄이고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늘린 대체 소재 면 출시가 늘고 있으며, 이미 대체당을 사용한 음료와 제과ㆍ제빵류는 시장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혈당 스파이크 관리의 대중화: 음식 섭취에 따른 혈당 관리를 위한 부착형 개인연속혈당측정기(CGM)는 연 100만 대가 판매될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사용자 중 당뇨 환자가 아닌 소비자의 비중이 41.4%에 달하는 것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저속노화’를 기반으로 한 웰니스 푸드 라이프스타일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결정적인 증거다.
사회적ㆍ환경적 건강까지 고려: 신선란 구매 행태 분석 결과, 일반 신선란 구매는 감소하는 반면, 동물복지란 구매금액은 38.6%, 유정란은 33.2% 증가하며, 육체적 건강을 넘어 사회적ㆍ환경적 건강함까지 고려하는 웰니스의 방향으로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줬다. 저탄소 인증 농축산물 생산이 서서히 늘어나는 것 역시 이러한 새로운 웰니스의 경향을 뒷받침한다.
포맷의 재편: 극단적 혼밥으로 인한 ‘원보울’ 전성시대
장기화된 불경기와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는 혼밥 성향은 외식과 간편식 시장의 메뉴 포맷을 변화시키고 있다. 여러 명이 둘러앉아 먹던 찌개류, 전골류, 고지방 삼겹살 등 공유 메뉴의 섭취 빈도는 확연히 줄고 있다.
비즈니스 임팩트: 실제로 육가공업체 인터뷰 결과, 식당에 공급되는 고기 중 특히 고지방 부위인 삼겹살의 재고가 쌓이는 현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웰니스 선호와 극단적 혼밥 선호 현상이 결합해 야기한 새로운 비즈니스 충격으로 분석된다.
원보울ㆍ원디쉬의 성장: 별다른 반찬 없이 숟가락 하나로 편리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는 ‘원보울(One Bowl)’ 형태 음식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덮밥류는 섭취 횟수가 8.2%, 비빔밥은 13.7% 성장하며 스타 메뉴가 됐으며, 특히 밥이 말아져 있는 국밥류가 7.0% 성장하며 곰탕류(3.5% 감소)를 제치고 트렌디하고 편리한 원보울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파스타, 샐러드 등의 ‘원디쉬(One Dish)’와 샌드위치, 햄버거 등의 ‘원핸드(One Hand)’ 푸드 역시 빠르게 성장하는 포맷으로 나타났다.
미래 식품산업을 관통하는 11가지 핵심 분석
‘2026 푸드 트렌드’는 혼웰식 트렌드를 정교하게 분석하는 것 외에도 식품기업이 필히 알아야 할 시장 동향을 총 11개 챕터에 걸쳐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챕터 1~6: 혼웰식 핵심 분석(한국인의 일상식, 혼밥 적합 간편식 포맷, 혼밥 적합 육류 섭취, 계란/계란가공식품, 대체 소재면 시장, 음식과 혈당 스파이크)
챕터 7~11: 확장 영역 분석
농식품 세트 상품 구매 트렌드: 신선 및 저가공 세트 상품 시장에서의 기회 분석.
온라인 그로서리 시장: 주요 식료품 구매 채널로 자리 잡은 ‘온라인’ 시장의 구체적인 흐름.
펫푸드의 세계: 전국 가구 4분의 1 이상이 함께하는 반려동물과의 생활 속, 반려인의 펫푸드 구매 행동과 시장의 성장 아이템 분석.
K-Food 시장의 성장: 글로벌 시장을 미주, 중화, 일본, 동남아, EU 5대 권역으로 나누어 신제품 출시 동향 분석, 글로벌 진출 전략 수립의 근거 자료 제공.
저탄소 농축산물 시장: ESG 트렌드에 발맞춘 저탄소 인증 소재의 시장 도전과 기회.
문정훈 교수는 서문에서 “혼웰식은 미래의 신제품, 신메뉴, 신서비스 개발에 있어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고 확신한다”며, “수많은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기반한 통찰(Insight)을 담은 이 책이 식품산업 관계자들이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한다.
한편, 식품저널과 서울대 푸드비즈니스랩은 ‘2026 푸드 트렌드 - 혼웰식’ 출간에 맞춰 14일 오후 서울대에서 4시간 특별강연회를 개최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_(1)(1).jpg)
건우에프피.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