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산 가루쌀 매입량 2만704톤, 올 8월 말 기준 판매량은 2626톤...재고는 1만8000톤"

문금주 의원

정부가 수입 밀 대체를 목표로 추진한 ‘가루쌀 확대 정책’이 판매 부진과 재고 누적으로 한계에 봉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 중심, 지역 순환형 구조로 전환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산 가루쌀 매입량은 2만704톤이었으나, 올 8월 말 기준 판매량은 2626톤으로 판매율이 12.6%에 그쳤다. 재고는 1만8000톤 이상이 쌓여 있는 상황이다. 

문 의원은 “정부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가루쌀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므로, 소비 확산을 위한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올해 역시 시장 반응은 냉담하다”면서, “농식품부가 지난 8월 식품기업과 베이커리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조사에서도 올해 연말 기준 가루쌀 소비량은 5300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으며, 이에 정부는 팔리지 않은 물량 중 1만5000톤을 주정용으로 전환 판매하기로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가루쌀 주요 생산지는 전남·전북·충남에 집중돼 있지만, 소비는 수도권에 치우쳐 있어, 물류비 부담이 크다는 게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제품 가격이 높아지고, 소비자 외면이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문 의원은 “농촌진흥청의 ‘2024년 가루쌀 소비촉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62%가 ‘밀가루보다 가격이 저렴할 때만 구매하겠다’고 응답했다”면서, “이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가루쌀 소비 확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가루쌀 소비 활성화에 필요한 ‘지역 자립형 소비모델’ 사업을 폐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에서 생산된 가루쌀을 지역 내에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쌀가루 지역 자립형 소비모델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더 이상 시행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문 의원은 “필요한 사업은 중단하고, 재고만 쌓이는 보여주기식 매입 정책을 반복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 운영”이라며, “가루쌀은 밀 대체와 쌀 과잉 생산 해소를 위한 중요한 정책이지만, 지금처럼 소비 기반이 무너진 상태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생산 중심이 아닌 소비 중심, 지역 순환형 구조로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