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GMO 완전표시제’ 의견 수렴 포럼 개최
AI 기반 식중독 원인균·의심 식품 추정 시스템 도입 추진
통합급식관리지원센터, 모든 지자체에 확대 설치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 대상 집단급식소까지 확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안전한 먹거리·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수요자 중심의 안전한 의료제품 안정 공급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지원 체계 가동 등 3대 국정과제 추진에 본격 나선다.
식약처는 새 정부가 향후 5년간 추진할 123대 국정과제를 확정함에 따라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실현하기 위해 식약처 소관 역점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19일 밝혔다.
안전한 먹거리·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먼저, 안전한 먹거리·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AI 기반의 식중독 원인균과 의심 식품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도입, 식중독 발생 시 원인 식품을 신속하게 찾아내고 확산을 방지할 계획이다. AI를 활용, 다양한 정보를 수집·분석해 위해우려 수입식품을 집중 검사하는 한편, 신종 식품 위해요인·위해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등 혁신적인 식품사고 사전예방 체계를 구축한다.
어린이・노인・장애인에게 영양균형 식단을 제공하기 위해 영양사가 없는 소규모 급식소의 식품안전・영양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급식현장을 방문해 위생관리 개선, 종사자 교육 및 식단 제공 등을 지원하는 통합급식관리지원센터를 모든 지자체에 확대·설치하는 한편, 원료부터 배식까지 전 과정에 안전기준을 두는 급식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또, 안전한 외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집단급식소까지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을 확대한다. 기존에 음식점 위생등급제는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등 음식점을 대상으로 등급 지정이 이뤄졌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사용해 제조‧가공한 경우 GMO 유전자(단백질)의 잔류 여부와 상관없이 표시하는 유전자변형식품(GMO) 완전표시제 도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오늘 서울에서 ‘GMO 완전표시제’ 관련 포럼을 개최하고, 이후에도 계속 각계 의견 수렴에 나선다. 또, 모든 식품의 영양성분 정보를 확대 제공하며, 담배 제품의 유해성분에 관한 정보를 공개할 계획이다.
수요자 중심의 안전한 의료제품 안정 공급
수요자 중심의 안전한 의료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수의약품 공공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 기회 확보를 위해 희귀・난치의약품 정부 직접공급(긴급도입)의 법적 근거와 희소・긴급 의료기기의 안정공급 제도 기반을 명확히 하는 한편, 환자의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단체와 협의, 의료인이 처방 전 확인해야 할 투약 이력 확인 성분을 확대할 계획이다.
제약・바이오・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지원 체계 가동
혁신 의료제품의 국가 R&D 기획부터 품목허가까지 밀착 지원해 사업화 성공을 지원하는 규제정합성 사전 검토를 활성화하고,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지원 제도화와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 도입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시장 진입과 글로벌 진출 지원을 위한 새로운 규제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과학에 기반한 현장 소통과 혁신으로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는 국정 성과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