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연구원, 2025년 하반기 시행 목표
소비자가 더 안전하고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클린라벨(Clean Label)’ 인증제도가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한국식품연구원은 가공식품의 첨가물 저감과 투명한 정보 제공을 핵심으로 한 클린라벨 인증제도를 새롭게 구축하고, 오는 2025년 하반기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인증제도는 건강한 먹거리 문화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불필요한 식품첨가물을 줄이고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성분 정보를 제공해 신뢰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식품과학회 주관으로 단체표준 제정을 위한 공청회를 진행 중이며, 제도는 7월 한 달간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연내 정식 시행될 예정이다.
식품연이 최근 2,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식품 구매 시 가장 우려하는 요인으로 식품첨가물(23.7%)이 가장 높았고, 이어 환경호르몬(19.5%)과 칼로리(17.5%)가 뒤를 이었다. 첨가물을 줄이거나 무첨가 제품에 대한 신뢰도 점수는 100점 만점에 72.8점으로,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과 가공 투명성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린라벨은 1990년대 영국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간결하고 투명한 성분명 표시, 자연 유래 또는 최소 가공 원재료 사용, 합성첨가물 지양 등을 원칙으로 한다. 국내 클린라벨 인증 역시 ▲합성첨가물 미사용 ▲GMO 및 방사선 조사 원료 배제 ▲위생적 제조공정 확보 등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인증은 단체표준 형태로 운영되며, 신청 기업은 식품품목제조보고서, 원료수급확인서, 시험성적서 등 상세한 서류를 제출하고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에는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전용 인증 마크가 부착되고, 이후에도 정기적인 사후관리로 품질이 유지된다.
인증 운영은 (사)한국로하스협회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추진되며, 현재 인증 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제도 시행 이후에는 인증 기업에 대한 지원은 물론, 소비자 대상 교육 및 홍보 활동도 병행해 클린라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 도입은 식품 제조 현장의 품질관리 수준을 높이고, 국내 식품기업의 가공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식품 원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건강한 식문화 확산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식품연구원 최윤상 박사는 “클린라벨 인증은 국민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식품 선택 기준을 제시하는 과학적 장치”라며 “보다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함께 건강한 식품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동참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