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위탁 시에도 국내산ㆍ지역산 농축수산물 우선 사용

지난해 11월 1일 열린 군 급식 혁신 협의체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국방부<br>
지난해 11월 1일 열린 군 급식 혁신 협의체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국방부

올해도 군 급식 식재료 조달에 있어 농축수산물 수의계약 비중이 지난해와 동일하게 70% 수준으로 유지된다. 군 급식을 민간 위탁 사업으로 추진할 때에도 국내산ㆍ지역산 식재료를 우선 사용해야 한다.

해양수산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부터 새로 적용되는 국방부의 군 급식방침에 국내산ㆍ지역산 농축수산물 사용을 촉진하는 방안이 반영됐다고 6일 밝혔다.

해수부와 농식품부는 군 급식 혁신 협의체(국방부 차관 주재)에 참여해 국방부 및 농ㆍ축ㆍ수협 등과 함께 급식용 농수산식품의 안정적인 공급과 품질 향상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2025년에도 군 급식 식재료 조달에 있어 농축수산물 수의계약 비중을 2024년과 동일하게 70%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수협과 함께 지역 특산물이 군 부대에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군부대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맞춤형 식자재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역 농ㆍ축협,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과 협력해 다수의 군납조합과 부대 간 계약 방식을 단일조합과 부대 간 계약으로 간소화하고, 공공급식 플랫폼을 활용한 수발주시스템 구축, 전(前)처리 품목 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군 급식을 민간 위탁 사업으로 추진할 때 국내산ㆍ지역산 식재료를 우선 사용하도록 하고, 접경지역지원 특별법의 내용을 적용, ‘접경지역 안에서 생산되는 농축수산물을 우선구매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신규로 명시했다.

해수부 홍래형 수산정책관은 “군 급식 혁신 협의체를 통해 관계부처 간 긴밀히 협력해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장병의 선호를 최대한 반영한 품질 좋은 수산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공급체계를 개선하고 제품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군 급식 개선을 위한 관계부처 간 적극적인 협업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농식품부는 군 급식용 식재료의 안정적인 공급과 품질 향상을 위해 군 급식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