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위해식품]
무등록ㆍ무신고 영업 제품, 알레르기 유발 원료 미표시 제품, 벤조피렌이나 아플라톡신 등 발암물질 검출 제품
2019년~2024년 6월 회수된 위해식품 751건 중 1등급 위해식품 235건, 전체의 31%
최보윤 의원 “심각한 건강 위협, 식품안전 관리 대폭 강화해야”

최근 5년간 회수된 위해식품 3개 중 1개가 가장 위험한 ‘1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 6월까지 751건의 위해식품이 회수됐으며, 이 중 1등급 위해식품은 235건으로 전체의 31%를 차지했다.
식품의 섭취 또는 사용으로 인해 인체건강에 미치는 위해 영향이 매우 크거나 중대한 위반행위에 해당하는 1등급 위해식품에는 무등록·무신고 영업 제품, 알레르기 유발 원료 미표시 제품, 벤조피렌이나 아플라톡신 등 발암물질이 검출된 제품이 포함된다.
등급별 회수 현황을 살펴보면, 2등급(식품의 섭취 또는 사용으로 인해 인체건강에 미치는 위해영향이 크거나 일시적인 경우) 위해식품은 43건으로 식중독균(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등), 중금속(납, 니켈 등) 검출 등의 사유로 회수됐으며, 3등급(식품의 섭취 또는 사용으로 인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위해 영향이 비교적 적은 경우) 위해식품은 473건으로 미생물(세균수, 대장균, 대장균군), 이물(쇳가루), 식품첨가물(보존료 등) 등의 이유로 회수됐다.
회수 사유별로 살펴보면, 기준·규격 부적합이 57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식품위생법 위반 111건,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67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보윤 의원은 “1등급 위해식품의 비중이 31%에 달하는 것은 소비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식품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며, 위반 시 더욱 강력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