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관련뉴스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화장품 및 치료제 산업 동향“
- 2024-09-22 (00:00)
- 317 hit
한국바이오협회 BIO ECONOMY BRIEF에 게재된 비티인사이트(B.T.Insight) 김지현 대표님의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화장품 및 치료제 산업 동향“입니다.
국내외 피부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제품의 형태는 크게 ①피부마이크로바이옴 퍼스널케어제품(Cosmetics), ②피부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품(Cosmeceuticals), ③피부마이크로바이옴 식품(Inner beauty functional foods) 등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국내는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의 제조법과 규제 등의 이유로 현재 미생물의 추출물 혹은 용해물을 성분으로 활용하는 포스트바이오틱스 중심으로 제품이 개발, 출시되고 있으며,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바이오기업들이 아토피피부염 등 피부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전임상 및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들 제품그룹의 연구개발 기능성 타겟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피부마이크로바이옴 퍼스널케어 제품(Cosmetics): 피부민감성 경감, 피부보습, 피부장벽 개선, 피부자극 경감, 염증 경감, 피부유익균 증대, 피부유해세균 억제, 항노화, 피부장벽 재생, 황색포도상구균 제거, 피부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 두피장벽 강화,
피부보호 및 진정 작용, 자외선 차단 등
② 피부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품(Cosmeceuticals): 여드름(acne), 습진(eczema), 만성피지선염증(rosacea), 항암제 연관 발진(CTAR, cancer therapy-associated rashes), 니트레토 증후군(Netherton syndrome), 곰팡이 질환, 자가면역, 감염성종양, 건선
(psoriasis), 지루성피부염(seborrheic dermatitis), 아토피피부염 및 항암발진치료 등
③ 피부마이크로바이옴 식품(Inner beauty functional foods):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KFDA 개별인정형 건기식),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KFDA 개별인정형 건기식, FDA NDI 인정 획득) 등
식품-의약품, 식품-화장품, 의약품-화장품 간의 융합에서와 같이 피부마이크로바이옴 분야도 식품기업과 제약사의 화장품 사업 진출이나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의 의약품 및 화장품 사업 동시 개발 등 화장품, 식품, 의약품 산업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업무에도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