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관련뉴스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토막 정보와 이슈"

  • 2024-09-15 (00:00)
  • 266 hit

금회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토막 정보와 이" 4편을 전송드립니다.

 

각각을 요약 소개합니다.

① 장내 미생물의 세포외소포체 기반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 개발 : 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

 ▶궤양성 대장염크론병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은 20~40대 젊은 층에 주로 발병하는 원인불명의 난치성 질환으로최근 국내·외의 염증성 장 질환 환자수가 늘어나는 추세로국내에서 지난 5년간 32% 증가함특히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신체 기능의 감소는 물론 대장암 

   유발의 원인이 되는 난치성 질환임

 ▶사람의 장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의 일종인 Roseburia intestinalis에서 분비되는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를 분리하는 데 성공함

 ▶해당 세포외소포체를 염증성 장 질환 동물모델에 경구로 투여한 결과염증성 장 질환의 질병 대조군 대비 장 상피세포와 점막층 손상 및 면역세포 침윤이 감소하였고대장 길이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에 따라 세포외소포체 투여군에서 질병 활성도가 낮음을 확인함(그림 1)

 ▶장 조직 염증이 완화됨과 동시에 장의 장벽 기능이 개선되고 불균형한 장내 균총의 균형이 회복되는 등 뛰어난 치료 효능을 확인하여 염증성 장 질환 치료와 관련된 작용기전을 규명함(그림 2) 

② 장내균총위암치료 열쇠되나 : Gut Microbes

 ▶위암 환자의 기능성 장내균총과 면역세포를 분석한 결과 위암 환자에서 감소돼 나타나는 장내균총의 유익한 대사산물인 butyrate가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면역 저하를 제어한다는 사실을 확인함.

 ▶ Butyrate는 장내균총 중 하나인 Faecalibacterium의 대사 산물로섬유질을 분해하고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단쇄 지방산(SCFAs, Short Chain Fatty Acids)임.  Faecalibacterium은 대장 점막의 염증을 줄이고면역체계를 강화하며소화 과정을 돕는 등 유익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위암환자의 장내균총과 면역 저하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위암환자의 혈액 내 면역 세포와 종양조직에서 면역세포 아형을 분석한 결과 진행성 위암 환자는 조기 위암환자 보다 혈액 내 면역 세포와 종양조직에서 면역억제인자로 알려진 PD-L1과 IL-10의 발현이 높은 것을 확인함

 ▶위암 환자의 장내균총을 분석한 결과, butyrate를 생산하는 일부 장내세균이 감소되었고감소된 균주들은 Faecalibacterium을 비롯해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Collinsella, 소화 과정을 돕는 비피더스균이었음

 ▶이러한 장내균총이 분비하는 대사산물인  butyrate가 위암세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암 아바타 모델을 활용실험한 결과  butyrate가 생체 내 모델에서도 위암세포의 PD-L1과 IL-10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암 촉진을 억제하는 항종양효과가 

   있음을 입증함 

③ 포스트바이오틱스가 운동 능력과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 Nutrients

 ▶포스트바이오틱스 섭취와 운동 능력과 회복에 관련된 문헌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8세 이상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수행됨

 ▶총 477명 피험자 대상으로 포스트바이오틱스 섭취가 운동능력근 회복체성분변화피로와 통증정도근육손상염증면역조절산화스트레스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 결과수 주간의 운동 훈련 기간 동안 포스트바이오틱스 섭취는 피험자의 기분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켜주고 피로지각을 감소시켰으며운동선수의 운동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

 ▶포스트바이오틱스가 어떻게 운동 회복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함 

④ 인체질병 마이크로바이옴 지도: Genome Research
 ▶전 세계 과학자들은 2007년부터 국제인간마이크로바이옴 컨소시엄’ 등을 결성해 비밀을 풀기 시작했지만 주된 대상자는 건강한 정상인이었고마이크로바이옴으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질병환자에 대한 빅데이터가 필요함

 ▶북미유럽남아시아 및 동아시아 등 19개국에 23개 질병에 대한 6014개의 인간 장내 샷건 메타지놈 데이터(장내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를 심층 분석한 후 건강한 개인과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에게 어떤 박테리아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분류해 특정 기능을 특정 박테리아와 

   연결시킨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지도처럼 작성함

 ▶당뇨병염증성 질환우울증 등 23개 질환환자들 대부분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유해균인 푸소박테륨(Fusobacterium),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균주가 증가하고장내 유익균인 라크노스시라피에(Lachnospiraceae)에 속하는 단쇄지방산 

   생성균주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함

 ▶서구화된 음식과 환경에 노출이 잦은 경우 장내 염증을 촉진하는 박테리아와 항생제 내성 균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도 확인하였고아프리카나 몽골 등 서구화되지 않은 마이크로바이옴과 일본과 중국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유해균인 클로스트리듐 균주 증가가 확인함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