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관련뉴스

“친환경 식품 포장재” 기술로드맵

  • 2024-09-08 (00:00)
  • 562 hit

 

 

금회는 TIPA가 작성한 전략품목 환경분석 “친환경 식품 포장재” 기술로드맵을 전송드립니다.

최근 개인중심사회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식품 포장이  소형화되면서 식품을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친환경 식품 포장재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사회적 소비에 가치를 두고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그린슈머(Greensumer = Green + Consumer)가 증가하고 있고소비자들의 관심이 사회적 기여와 환경보호 의지가 높아지면서 식품업계에서도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핵심기술별 기술요구사항개발목표최종목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회용 순환 포장 설계 기술

기술요구사항

 -다회성 포장 및 재질의 사용을 통한 폐기물 저감 요구

 -재활용 및 재생 가능한 소재의 사용률을 높여 지속가능성 확보 필요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운송 효율성을 확보하고 내출격성과 기밀성이 확보되어 내용물 안전확보 요구

개발목표

 -1차년도용도별 다회성 포장설계 및 순환시스템 기술 개발

 -2차년도재활용 및 재생 가능한 원료를 활용한 다회용 포장기술 개발

 -3차년도운송효율성 검증 및 환경 영향 평가(LCA*)

최종목표재활용 재생 원료를 사용하여 운송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다회용 순환포장기술 개발

  * LCA(Life Cycle Assessment, 환경전과정평가):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부터 제조유통사용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에 걸친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는 방법

 포장 소재 경량화 기술

기술요구사항

 -재활용재사용 가능한 포장설계와 공간비율포장횟수를 최소화하여 포장재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는 포장재 개발 필요

개발목표

 -1차년도감량을 위한 소재기술 개발가공 및 설계 기술 개발

 -2차년도감량포장재 공정기술 개발

 -3차년도양산 검증 및 전 과정 평가 (LCA)

최종목표재활용 최우수우수등급재사용 가능 설계적정포장포장재의 경량화박막화장기보존성 확보를 통한 포장소재 사용 평균 20% 이상 저감달성

 고차단성 단일소재 가공기술

기술요구사항

 -재활용성 향상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천연물 혹은 생분해성 원료를 활용 차단성소재

 -종이와 필름에 합지 및 코팅이 가능한 생분해성 소재활용

개발목표

 -1차년도생분해성 천연물 기반의 고차단성 가능 소재 탐색 및 조성 검토

 -2차년도소재조성 개발 및 LAB Scale평가코팅액 양산성 평가

 -3차년도단일소재로의 가공을 위한 종이 및 필름 기반공정기술 개발양산 안정화

최종목표산소(3cc/m2·day 이하)와 수분 (5g/m2·day 이하)차단성을 동시에 충족 필름 및 종이 기반의 단일소재

 생분해성 소재·가공 기술

기술요구사항

 -상용화된 생 분해성 소재 가운데 PLA와 같이 특정 조건(60,70% 수분)에 분해되는 소재가 아닌 자연상태에서 분해되는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컴파운드 및 제품 기술개발 요구

개발목표

 -1차년도

 상용화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활용한 고기능성소재 및 컴파운드 배합(조성)개발

  PLA를 제외한 TPS, PBAT, PBS, PHA등 생분해성소재 활용

 -2차년도

 배합 최적화를 통한 파일럿 스케일 컴파운딩 그리고 압출 및 사출기술 개발

 고기능성소재 양산공정기술 개발

 -3차년도

 종이기반의 열접착 등 기능성이 확보된 제품 개발

 컴파운드압출사출 양산기술 확보

최종목표해양 및 토양 조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고기능성(씰링층배리어층,종이 프라이머층등소재와 필름시트사출 제품을 위한 컴파운드 가공기술 개발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 김 필 주 //  파일 용량이 3메가 이상이라서 첨부 파일에 내용 전체를 게재하지 못했습니다.

                               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게시자 개인 메일로 연락주시면 발송해 드리겠습니다.

                                메일 주소 : kimpj1@naver.com  김필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