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영양정보 미제공 커피ㆍ음료 전문점 스무디 93건 수거ㆍ검사 결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무디 한 컵(1회 제공량)에&nbsp;1일 섭취 권고량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nbsp;평균 52.2g의 당이 들어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br>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무디 한 컵(1회 제공량)에 1일 섭취 권고량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평균 52.2g의 당이 들어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무디 한 컵(1회 제공량)에 평균 52.2g의 당이 들어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인 영양소 총당류 섭취기준으로 볼 때 하루 한 컵만 마셔도 1일 섭취 권고량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4~6월 영양성분 확인이 어려운 중ㆍ소형 커피ㆍ음료 전문점의 스무디 93건을 수거, 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52.2g이 들어있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각설탕 17개 분량에 이르는 양이며, 한국인 영양소 총당류 섭취기준으로 볼 때 하루 한 컵만 마셔도 1일 섭취 기준치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총당류 섭취기준은 1일 총에너지 섭취량의 10∼20%(2000kcal 기준 50∼100g), 식품 조리 및 가공 시 첨가되는 첨가당 섭취는 1일 총에너지 섭취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제안하고 있다. 

조사 대상 중 당 함량이 가장 높은 스무디는 한 컵당 94.6g으로, 1회 섭취만으로도 1일 총당류 섭취기준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음료를 주문할 때 당도 조절을 요청하면 당 함량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도 분석했다. 

당도 수준은 기존 당도와 ‘덜 달게’, ‘반으로 달게’ 세 단계로 구분했으며, 제조자로 인한 차이를 고려해 동일 음료를 3일 동안 반복 주문해 분석했다. 

당 함량은 기존 당도의 스무디에 비해 ‘덜 달게’는 평균 15%, ‘반으로 달게’는 평균 40% 줄었다. 한 컵당 52.2g의 당 함량을 보인 기존 당도에 비해 ‘덜 달게’는 44.4g, ‘반으로 달게’는 31.9g으로 조사됐다.

당 함량을 1개 3g의 각설탕으로 환산하면 기존 당도의 스무디는 각설탕 약 17개에 해당하며, ‘덜 달게’는 각설탕 약 3개, ‘반으로 달게’는 각설탕 약 7개가 줄어드는 셈이었다.

또한, ‘덜 달게’ 보다 ‘반으로 달게’라는 정량적인 문구를 사용했을 때 당 함량 감소 폭이 더 컸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청소년들이 즐겨 찾는 스무디와 같은 고당 음료의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량화된 표준 조리법에 따라 덜 단맛을 선택할 수 있는 소비 환경이 필요하다”며, “연구원은 앞으로도 시민이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영양 정보를 조사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