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는 김치제조업체의 원가 절감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절임염수 재활용에 필요한 여과장치, 오존처리장치 등 시설 구축 비용을 지원한다. 사진=식품저널DB
농식품부는 김치제조업체의 원가 절감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절임염수 재활용에 필요한 여과장치, 오존처리장치 등 시설 구축 비용을 지원한다. 사진=식품저널DB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도 절임염수 재활용 설비 구축사업 대상자로 김치제조업체 13개소를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절임염수 재활용 설비 구축사업은 김치 제조에 필수 재료인 소금류의 수급 불안과 가격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김치제조업체의 원가 절감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됐으며, 절임염수 재활용에 필요한 여과장치, 오존처리장치 등 시설 구축 비용(국비 30%, 지방비 40%, 자부담 30%)을 지원한다.

국내 상품 김치 시장은 맞벌이 부부 증가 등으로 소비패턴이 편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해외에서 발효·비건 식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내수․수출 모두 성장 추세지만, 소금류를 포함한 원재료 비용 상승 등으로 많은 김치제조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번 재활용 설비 구축을 통해 절임염수를 최대 20회까지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용수와 소금류 투입비용은 44%, 폐수 처리비용은 5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연간 약 40%(절임염수 20톤/일 재활용 시설 기준, 약 1억원 절감)의 염수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이번 절임염수 재활용 시설 구축 지원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김치제조업체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우리 김치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비 촉진 및 원료수급안정 등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