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이지원 교수 등 연구 결과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연세암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강상욱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의학통계학과 이혜선 교수. 사진=세브란스병원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연세암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강상욱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의학통계학과 이혜선 교수. 사진=세브란스병원

해조류를 주 5회 이상 섭취하면, 주 1회 미만으로 섭취했을 때보다 갑상선암 유병률이 58% 낮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연세암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강상욱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의학통계학과 이혜선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영양학’(Nutrients)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대규모 갑상선암 환자 데이터를 활용, 요오드를 많이 포함한 음식 섭취가 갑상선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 사업(KoGES) 자료를 활용, 갑상선암 환자 16만9057명이 자주 섭취하는 요오드 고함량 음식을 추렸다. 섭취가 잦은 상위 세 가지 음식은 달걀, 해조류, 유제품 순이었다. 

요오드 하루 섭취 권장량은 연령별, 성별로 다르나, 보통 성인은 150ug, 임산부는 여기에 90ug, 수유부는 190ug가 추가된다. 

연구팀은 세 가지 음식 섭취 횟수가 갑상선암 유병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통계분석했다. 

섭취 횟수에 따라 주 5회 이상 섭취군, 주 3~4회 섭취군, 주 1~2회 섭취군, 주 1회 미만 섭취군으로 구분했으며, 음식별로 섭취군 간 갑상선암 유병률 차이를 알아봤다. 

해조류를 주 5회 이상 섭취한 집단은 주 1회 미만 섭취군보다 유병률이 58% 낮았다. 주 3~4회 섭취군, 주 1~2회 섭취군은 주 1회 미만 섭취군보다 각각 43%, 32% 낮아, 해조류 섭취 횟수가 늘수록 유병률이 비례하게 떨어졌다.

유제품 주 3~4회 섭취군은 주 1회 미만 섭취군보다 유병률이 24% 낮았으며, 달걀 섭취 횟수와 유병률 간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이지원 교수는 “요오드 섭취량이 많을수록 우리나라에서 흔한 갑상선 유두암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요오드를 함유하고 있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갑상선암 발생의 위험이 달라진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과도한 요오드 섭취는 좋지 않지만, 무조건 요오드를 함유한 식품을 피하는 것보다는 적절한 해산물 섭취가 오히려 갑상선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식이관리 수요 기반 대상별 맞춤형 식사관리 솔루션 및 재가식 연구개발’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이지원ㆍ권유진 교수 연구팀은 여러 대형 국책과제를 통해 메디컬푸드를 개발하고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