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과학기술전략–II

  • 2025-04-07 (15:00)
  • 50 hit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이 발간한 한림연구보고서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과학기술전략II“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과학기술전략-II”의 제목과 핵심어

①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암관리 정책 (서영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

 ▶우리나라 암발생률 및 사망률의 변화 추이

 ▶다단계 발암기전의 과학적 이해

 ▶암치료 및 항암제 개발의 현황 및 한계

 ▶암세포의 특성 및 암발생에 대한 새로운 시각-진화론적 접근

 ▶암은 예방 가능한가?

 ▶주요 선진국의 암관리 정책 분석

 ▶우리나라 암관리 현황 및 정책적 대비

 ▶초고령사회 통합적 암관리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

 

② 초고령사회와 디지털헬스 (고상백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와 디지털헬스

 ▶초고령사회와 디지털헬스의 접목 필요성

 -인구의 변화초고령사회와 의료비 증가

 -초고령사회 의료와 돌봄 및 디지털헬스

 ▶디지털헬스의 정책 및 기술현황

 ▶디지털헬스의 내용과 역할

 -디지털헬스 의료기기

 -디지털 치료기기(DTx)

 -빅데이터의 역할과 자료의 통합

 -인공지능질병 예측과 의료의 활용

 

③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돌봄로봇 기술 (송원경 국립재활원재활보조기술연구과장)

 ▶돌봄로봇 기술의 발전 전망

 -신체 보조 로봇 기술

 -일상생활 보조 로봇 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

 -정서적 지원 로봇 기술

 ▶주요국의 돌봄로봇 정책 동향

 ▶국내 현황 및 정책 과제

 

④ 초고령사회에 필요한 미래 모빌리티의 발전 (조형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웨어러블 로봇의 발달과 활용

 -인간능력 유지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 – 일상생활 보조

 -인간능력 회복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 재활 로봇

 -인간능력 증강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 작업 능력 향상

 -인간능력 초월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슈퍼맨 슈트

 ▶ 개인 이송 기술의 발달

 -실내 이송 기술

 -건물 내부에서 이송 기술

 -실외 지상 이송 기술

 -실외 공중(3차원이송 기술

 ▶AI 및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기술의 연계 및 발전 방향

 ▶초고령사회의 모빌리티 향상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제언

 

⑤ 초고령사회와 능동적 노화인지적사회적 관점 (한소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인구구조의 변화

 -노화의 핵심 개념

 ▶신체 움직임과 뇌인지 기능

 -모빌리티와 삶의 질

 -운동과 뇌인지 기능

 ▶모빌리티와 사회적 연결

 -코로나19와 이동성

 -고립과 외로움의 위기

걷기 좋은 도시와 자연이 있는 환경

 -15분 도시

 -건축 환경과 사회적 연결

 -자연환경의 인지적 정서적 효과

모두를 위한 도시 모델과 정책 제언

 -고령친화도시와 커뮤니티

 -노인 친화 도시 모델

 

⑥ 건강노화를 위한 제언

 -제한된 의료 인력자원공간적인 한계와 시간적인 제약을 극복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헬스케어 및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원격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털 의료기기 플랫폼과 로봇을 이용한 재활 및 돌봄서비스는 독거노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의료공백을 방지

 - 디지털헬스를 활용하여 병원과 요양시설을 지역사회와 연계한 통합 건강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지속 가능한 돌봄 체계 구축

 -고령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하고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로봇 및 자율주행 모빌리티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공 인프라를 개선

 -인지적사회적 기능을 높이는 스마트시티와 같은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에서 보다 포용적인 공유 모빌리티 시스템을 포함한 고령자 친화적인 환경의 조성

 -고령친화 업 육성을 통해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경제적 기회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