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 2025-03-30 (00:00)
  • 81 hit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금회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이 발간한 한림연구보고서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입니다.

보고서는 초고령사회 대비 과학기술전략 8개를 제시한 후, 각 주제별 전문가 교수님을 집필진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의 양이 100 페이지를 넘고 있어 금주는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I" 삶의 질 향상, 건강노화, 치매 등 3개 주제를, 다음 주는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II

암, 디지털 헬스, 돌봄로봇, 모빌리티, 능동적 노화 등 5개 주제를 전송드리겠습니다.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I"의 제목, 집필진과 핵심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삶의 질 향상은 초고령사회 과학기술의 핵심목표 (박상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석좌교수)

 ▶시대적 변화와 백세인의 교훈

 -Life 3.0시대의 도래

 -한국의 백세인 지난 20년의 변화

 -한국이 최장수국으로 부상

 -우리나라의 최장수국 진입과 고령화 대책의 시급성

 ▶장수의 패러독스와 코로나19의 교훈

 -장수패러독스(Longevity Paradox)의 극복경제적 측면의 의료비 급증과 복지시스템 부담 증가사회적 측면의 인간관계 변조와 세대갈등생물학적 측면의 출산율 격감과 인구구조 변화

 -코로나19 사태의 교훈높은 고령 선택적 치사율생활습관과 주거환경의 중요성과학기술 발전의 시급성사회적 위기의 미래지향적 해법

 ▶고령사회의 과학기술

 -과학기술 수요의 변화

 -치병장수(治病長壽사례로 본 장수와 의료혜택

 ▶고령사회에 필요한 과학기술

 ▶고령사회 대비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

 

②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건강노화 전략과 전망 (정해영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석학교수)

 ▶4차 산업혁명시대의 다중오믹스 및 AI 기술의 건강노화 연구 활용

 ▶노화 유발인자와 인체 방어기전 기반 건강노화 연구 동향과 전망

 -노화 유발인자 연구 동향

 -인체 방어기전 연구 동향

 -주목받는 노화 제어 및 건강수명 연장 전략

 -건강노화를 위한 다중오믹스, AI 기술의 활용 확대

 -토탈 솔루션 지향적 연구 강화

 ▶세포노화와 세놀리틱스 연구 현황과 한계

 ▶역노화 연구 현황과 전망

 ▶건강노화 전략과 전망

 -식이제한

 -간헐적 단식

 -적당한 운동유산소 운동근력 운동유연성 운동과 밸런스 운동

 -장내 유익균 살리기

 -영양보충제

 -건강노화를 위한 노화 표적분자 연구와 노화제어 신약개발 전략과 전망

 -유전자 조절을 통한 노화제어

 

③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치매의 과학기술현황 및 발전 방향 (묵인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관련 기술 동향

 -현재 치료제의 한계

 -알츠하이머병 원인 치료제

 -기술기반 치료법 개발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의 필요성 및 방법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관련 기술 동향

 ▶국외 주요기관 정책 동향

 -세계보건기구(WH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알츠하이머 연맹(AA)

 ▶국가 차원에서의 치매 대비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

 -치매 예방 및 조기진단 지원

 -치료 및 관리 지원

 -연구 및 교육 지원

 -정책적 지원


매우 유익한 내용을 간결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 全文용량 3.5MB로 본 란에 첨부 안됩니다.  필요하신 분은  kimpj1@naver.com(김필주) 으로 연락주시면 전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